收藏 分销(赏)

韩语高级语法的一些韩文解释.doc

上传人:仙人****88 文档编号:9415222 上传时间:2025-03-25 格式:DOC 页数:5 大小:20.91KB
下载 相关 举报
韩语高级语法的一些韩文解释.doc_第1页
第1页 / 共5页
韩语高级语法的一些韩文解释.doc_第2页
第2页 / 共5页
点击查看更多>>
资源描述
-거니 1.(‘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따위의 뒤에 붙어;예스러운 표현이나 문어체로 쓰여) 이미 정해진 어떤 사실을 인정하면서 그것이 다른 사실의 전제나 조건이 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흔히 뒤에는 의문 형식이 온다. 나는 젊었거니 짐인들 무거우랴. 우리나라는 어디 가나 경치가 아름다워 예로부터 금수강산이라 부르거니 이 강산에 태어난 자부심을 어디에 비기랴. 2.어간 바로 뒤에 붙어;‘-거니 -거니’ 구성으로 쓰여) 대립되는 두 동작이나 상태가 되풀이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주거니 받거니 술잔을 비우다 두 사람은 죄지은 것도 없이 남의 눈을 피해 앞서거니 뒤서거니 동구 밖을 나서서 샘골로 향했다.출처 : 박완서, 미망 3.‘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해라할 자리에 쓰여 마땅한 사실로 인정하거나 미루어 짐작한 사실임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흔히 속으로 하는 말의 인용 구성에 쓰인다. 나도 어렸을 때 어머니에게 저런 말을 들어 봤거니. 핏줄의 정이란 다 그러하거니. -ㄴ/은 즉 앞 절의 일이 뒤 절의 근거나 이유임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쉽게 풀어 쓴 책인즉 이해하기가 쉬울 것이다./비가 내린즉 곧 강물이 불을 것이다./날씨가 찬즉 얼음이 얼었다. -되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 「1」대립적인 사실을 잇는 데 쓰는 연결 어미. 조금 예스러운 어감이 있다. ¶ 그는 키는 작되 마음은 크다./말은 잘하되 실천은 하지 않는다./햇볕은 강하되 바람이 불어 덥지는 않았다./정월부터는 봄이라 하되 이름이 봄이지, 이월 중순까지도 날이 춥기가 여간이 아니었다.≪김동인, 운현궁의 봄≫ 「2」어떤 사실을 서술하면서 그와 관련된 조건이나 세부 사항을 뒤에 덧붙이는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추어 적는다./텃골 집에 가서 내 부모와 비밀히 만나 그 안부를 알아오되 내가 잘 있단 말만 사뢰고 어디 있단 것은 알리지 말라고 부탁하였다.≪김구, 백범일지≫ 「3」뒤에 오는 말이 인용하는 말임을 미리 나타내어 보일 때 인용 동사에 붙여 쓰는 연결 어미. ¶ 제자들이 대답하되 “모르나이다.”/탕왕이 걸을 남소로 쫓으시고 부끄러운 마음이 있어 이르시되 다음에 나를 구실로 삼을 무리가 있을까 두려워하노라.≪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ㄹ/을세라 1.뒤 절 일의 이유나 근거로 혹시 그러할까 염려하는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2.해라할 자리에 쓰여, 혹시 그러할까 염려하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3.감탄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행여 남편이 눈치챌세라 아내는 조용히 방문을 열었다. (표제어:ㄹ세라) 북쪽은 추울세라 두꺼운 옷도 준비했다. (표제어:ㄹ세라) 손에 쥐면 터질세라 바람 불면 날아갈세라. (표제어:ㄹ세라) 마음씨도 고울세라. (표제어:ㄹ세라) -노라고 (동사 어간이나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예스러운 표현으로) 화자가 자신의 행동에 대한 의도나 목적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하노라고 했는데 마음에 드실지 모르겠습니다. *‘-노라고’는 말하는 이의 말로, ‘자기 나름으로는 한다고’란 뜻을 표시하며, ‘-느라고’는 ‘하는 일로 인하여’란 뜻을 표시한다. -ㄹ라치면 [어미] 앞 절의 일이, 그 일이 있으면 으레 어떤 결과가 따르는 것을 경험한 데에서 하나의 조건으로 추상화해 낸 것임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면10’보다 더 통속적인 표현이다. Eg: 진달래라도 필라치면 산책하는 사람 수가 불어났다. 한번 외출하실라치면 온 집안이 들썩들썩한다. 형은 돈 부탁을 할라치면 군말 없이 들어주곤 했다 -거니와 1 . (예스러운 표현으로) 앞 절의 사실을 인정하면서 관련된 다른 사실을 이어 주는 연결 어미. 날씨가 춥거니와 바람까지 세차다. 마음씨도 착하거니와 얼굴도 아름답다. 딸의 나이도 찼거니와 마침 좋은 사윗감이 나타났네. 2 . (예스러운 표현으로) 곧 앞 절의 사태가 일어날 것임을 밝히면서 관련된 다른 사실을 이어 주는 연결 어미. 우리는 이제 떠나거니와 너희는 어떻게 할래? -느니 1.(‘있다’, ‘없다’, ‘계시다’의 어간, 동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 앞 절을 선택하기보다는 뒤 절의 사태를 선택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조사 ‘보다4’가 붙을 수 있다. 이렇게 그냥 앉아 계시느니 제게 옛날 말씀 좀 해 주시겠습니까? 타향에서 고생하느니 고향으로 돌아가자. 여기서 이렇게 무작정 대답을 기다리느니 직접 찾아가서 알아보는 것이 낫겠다. 2. (‘있다’, ‘없다’, ‘계시다’의 어간, 동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느니 -느니’ 구성으로 쓰여) ‘이러하기도 하고 저러하기도 하다’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돈이 있느니 없느니 하면서 시끄럽다. 소풍을 가느니 마느니 말도 많다. 3. (‘있다’, ‘없다’, ‘계시다’의 어간, 동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하게할 자리에 쓰여, 진리나 으레 있는 사실을 일러 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술은 많이 마시면 실수를 하느니. 여기엔 큰 못이 있었느니. -랴마는 종결 어미 ‘-랴1’에 보조사 ‘마는’이 결합한 말. 네가 돈을 벌면 얼마나 벌랴마는 한번 열심히 일해 봐라. 잘못이 없어 무엇이 두려우랴마는 지금은 일단 피하자. -마는(조사!!!어미가 아니고) (종결 어미 ‘-다, -냐, -자, -지’ 따위의 뒤에 붙어) 앞의 사실을 인정을 하면서도 그에 대한 의문이나 그와 어긋나는 상황 따위를 나타내는 보조사. 사고 싶다마는 돈이 없군. 비가 옵니다마는 이번 농사가 잘되기는 틀렸습니다. 얼마 되겠느냐마는 보태어 쓰도록 해라.예문보기 너도 가지마는 그다지 재미는 없을 것이다. 영화를 보고는 싶지마는 시간이 안 난다. 언젠가는 하도 갑갑해서 자를 가지고 덤벼들어서 그 키를 한번 재 볼까 했다마는 우리는 장인님이 내외를 해야 한다고 해서 마주 서 이야기도 한마디 하는 법 없다. -랴 1.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 해라할 자리에 쓰여, 사리로 미루어 판단하건대 어찌 그러할 것이냐고 반문하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네가 돈을 번다면 얼마나 벌랴? 잘못이 없는데 무엇이 두려우랴? 2.받침 없는 동사 어간이나 ‘ㄹ’ 받침인 동사 어간 뒤에 붙어) 해라할 자리에 쓰여, 자기가 하려는 행동에 대하여 상대편의 의향을 묻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무얼 주랴? 내가 가랴? -련마는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 어떤 조건이 충족되면 이러이러한 결과가 기대되는데, 아쉽게도 그 조건이 충족되지 못하여 기대하는 결과도 이루어질 수 없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간혹 ‘조건2’은 생략되기도 한다. ‘-겠건마는’보다 더 예스러운 말이다. 너도 노력하면 좋은 글을 쓰련마는 노력이 부족해서 안되겠다. 비가 안 오면 당장 가련마는 비가 내리니 내일 가자. 바람만 없으면 날씨가 제법 포근하련마는 바람이 부는구나. -ㄴ지라 1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형용사 어간, ‘ㄹ’ 받침인 형용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 (예스러운 표현으로) 앞 절의 상황이나 상태가 뒤 절의 행위나 상황에 대하여 이유나 원인이 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나는 어릴 적부터의 친구인지라 그의 마음을 잘 안다. 노래하는 이의 마음이 슬픈지라 노래에도 슬픔이 배어 있다. 배가 고픈지라 우선 밥부터 먹었다. 2 .(받침 없는 동사 어간, ‘ㄹ’ 받침인 동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 이미 이루어진 앞 절의 상황이나 상태가 뒤 절의 행위나 상황에 대하여 이유나 원인이 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발을 다친지라 걷기가 불편하다. -리만치=-리만큼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으오-’ 뒤에 붙어) ‘-ㄹ 정도로’의 뜻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비슷한 말] -리만치. 한 걸음도 더 걷지 못하리만큼 지쳤었다. 길 가는 사람이 걱정을 하리만큼 그의 걸음은 황급하였다.출처 : 현진건, 운수 좋은 날 누가 보기에도 창피하리만큼 윤 초시의 입과 눈가장엔 비굴한 표정이 떠돌고…. 꼼짝도 못하리만치 지쳐 있었다. 사실 나는 우스꽝스러우리만치 있는 노력을 다하였다. -기로서니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더-’, ‘-으리-’를 제외한 어미 뒤에 붙어) ‘-기로서’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 [비슷한 말] -로서니. 아무리 크기로서니 코끼리만 할까? 아무리 사장이기로서니 아버지 뻘인 사람에게 반말을 해도 되는 겁니까? 한 번 약속을 어겼기로서니 절연까지 할 것은 뭐 있나? -언정/-ㄹ지언정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 뒤 절을 강하게 시인하기 위하여 뒤 절의 일과는 대립적인 앞 절의 일을 시인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비록 그러하지만 그러나’ 혹은 ‘비록 그러하다 하여도 그러나’에 가까운 뜻을 나타낸다. ‘-ㄹ망정’보다 다소 강한 느낌이 있다. 그것은 무모한 행동일지언정 용감한 행동은 아니다. 아무리 좋은 약이언정 무턱대고 먹을 순 없소. 망정(의존명사) (주로 어미 ‘-기에’, ‘-니’, ‘-니까’, ‘-어서’ 뒤에 쓰여;‘망정이지’의 꼴로 쓰여) 괜찮거나 잘된 일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 그 집은 마침 네 눈에 띄었기에 망정이다. 네 눈에 안 뜨이는 그런 집이 이 세상에 얼마나 많은지 너 아니?≪이태준, 화관≫출처 : 이태준, 화관 우리가 한발 앞섰기에 망정이지, 읍내 지서에 연락이 되었다면 놈들이 지금쯤 여기로 몰려오고 있겠지?≪김원일, 불의 제전≫출처 : 김원일, 불의 제전 아비가 배 척이나 갖고 있으니 망정이지 돈 없으면 갈 데 없지, 창부질밖에 못 할 계집이라고요.≪박경리, 토지≫ -ㄹ망정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 앞 절의 사실을 인정하고 뒤 절에 그와 대립되는 다른 사실을 이어 말할 때에 쓰는 연결 어미. 앞 절의 사실은 가상의 것일 수도 있다. ‘비록 그러하지만 그러나’ 혹은 ‘비록 그러하다 하여도 그러나’에 가까운 뜻을 나타낸다. 머리는 나쁠망정 손은 부지런하다. 시골에서 살망정 세상 물정을 모르지는 않는다. 우리 학교는 작은 학교일망정 역사는 오래다
展开阅读全文

开通  VIP会员、SVIP会员  优惠大
下载10份以上建议开通VIP会员
下载20份以上建议开通SVIP会员


开通VIP      成为共赢上传
相似文档                                   自信AI助手自信AI助手

当前位置:首页 > 教育专区 > 外语文库 > 韩语学习

移动网页_全站_页脚广告1

关于我们      便捷服务       自信AI       AI导航        抽奖活动

©2010-2025 宁波自信网络信息技术有限公司  版权所有

客服电话:4009-655-100  投诉/维权电话:18658249818

gongan.png浙公网安备33021202000488号   

icp.png浙ICP备2021020529号-1  |  浙B2-20240490  

关注我们 :微信公众号    抖音    微博    LOFTER 

客服